조국에 버려진 병사들

Loading...



댓글쓰기


댓글(11)
에이다 (xxx.xxx.86.225)
장기전으로 가면 체급이 깡패라니까 러시아는 경제제재 따위 쌩까는 자급자족 국가고 서방이 우크라이나를 영원히 지원해주면 몰라도 민주 정치 하에서 선거나 정권 바뀔 때마다 정책이 달라지는데 계속 지원 불가능
삭제하기 638일 전
ㅇㅇ (xxx.xxx.78.31)
억울하게 해병 병사가 죽었는데도 책임있는 지휘권자 하나 처벌하지 않는 대한민국하고 다를게 뭐냐
삭제하기 638일 전
ㅊㅊ (xxx.xxx.140.109)
자국 공무원이 북한군에 피살됐는데 월북 했다는 대통령도 있던 나라야
삭제하기 638일 전
홍어 (xxx.xxx.155.148)
정치물 쪽 빼고선 이야기하자면, 월북인지 아닌지 결론난건가. 뭐 잘 모르는 사건이라 양쪽이 서로 주장만하다가 흐지부지 끝난거 같아서 정작 우리쪽에서 북한군 통신 감청정보(코민트)가 있는데, 감청자산 노출을 할수없어 공개하진 못한다고 들었네
삭제하기 638일 전
ㅊㅊ (xxx.xxx.140.109)
자진 월북 증거 없다고 판결났다 그런 사람을 도박빚 프레임 씌워서 월북자로 만든게 잘못인거야 잘 모르면 그런글 쓰지마 잘 모르는데 그런글 쓰면 대가리 깨져서 쉴드치는걸로 보여
삭제하기 638일 전
ㅇㅇ (xxx.xxx.155.148)
왜 이렇게 공격적이야. 그냥 아는선에서 물어본건데 무서워서 댓글 쓰겠나 우선 선입견을 가질까봐 주저리하면, 친미에 가깝고 미군하고도 친하고 감청부대 출신이라 저상황이 대략 그려져서 그럼 감청부대는 신분조회 확실하고 대가리 깨지면 못가는거 알지?
삭제하기 638일 전
ㅊㅊ (xxx.xxx.155.148)
"해양경찰청과 국방부가 2020년 9월 서해 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뒤 북한군의 총격에 사망한 해수부 공무원 A(사망 당시 47세)씨가 자진 월북했다고 단정할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2년전의 발표를 뒤집은 것이다. 하지만 해경과 국방부는 “2년 전 입장을 번복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섣불리 월북으로 추정한 것에 대해서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궁금해서 찾아봤더니 조선일보 기사내용 발췌 내 지식으로 판단하자면, 정권의 입맛에 따라서 2년 사이에 결론을 뒤집었네 그리고 판결은 아니고 그냥 조사내용 발표임
삭제하기 638일 전
핵미사일 (xxx.xxx.155.148)
해경과 국방부는 2년 전 군 당국의 첩보 내용과 A씨의 채무 관계, 당시 해상 표류 예측 분석 등을 근거로 A씨가 자진 월북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도 보도자료를 내고 “피살된 공무원이 월북을 시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함으로써 국민들께 혼선을 드렸고, 보안 관계상 모든 것을 공개하지 못함으로 인해 많은 사실을 알려드리지 못한 점에 대해서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방부 김성구 정책기획차장도 “그 당시 다양한 첩보를 바탕으로 월북으로 추정된다는 얘기를 했다.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상황이었는데 유감스럽다”면서도 “자세한 첩보 내용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삭제하기 638일 전
ㅊㅊ (xxx.xxx.155.148)
연평도에 있는 감청부대와 미군이 이미 북한군 통신을 감청했을거임 저 국방부 관계자가 자꾸 언급하는 첩보도 감청정보일 가능성이 높고 그런데 밝힐수는 없음. 우리의 감정자산이 전부 드러나니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월북이니 아니니는 잘 모르겠고, 관심도 없고 그냥 넷상에서 얼굴 안보고 이야기한다고 너무 공격만 하지 말고, 본인의 관점에서 모두 결론내지도 말고 좀 타인의 이야기도 들으면서 부드럽게 살자고
삭제하기 638일 전
ㅊㅊ (xxx.xxx.228.144)
월북인지 아닌지 결론난건가. 뭐 잘 모르는 사건이라 월북증거 없다고 판결났다 내 지식으로 판단하자면, 정권의 입맛에 따라서 2년 사이에 결론을 뒤집었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월북이니 아니니는 잘 모르겠고, 관심도 없고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는데 이미 넌 정권의 입맛에 따라 월북인데 뒤집었다 말하네? 이딴 소리를 하면서 중립인척 하고 싶은거야? 감사원에 따르면 국가 위기관리 컨트롤타워인 안보실은 2020년 9월 22일 당일 오후 북한 해역에서 이씨가 발견됐다는 사실을 합동참모본부로부터 보고 받았으나 통일부 등에 위기 상황을 전파하지 않고 '최초 상황평가회의'도 하지 않았다. 당시 국가위기관리센터장은 북한이 이씨를 구조하면 상황 종결 보고만 하면 되겠다고 판단하고, 상황이 종료되지 않았는데도 오후 7시 30분께 퇴근했다. 서훈 안보실장도 퇴근했다. 해경은 당일 오후 6시쯤 안보실로부터 정황을 전달받았지만, 보안 유지를 이유로 추가 정보를 파악하지 않고, 국방부 등에 필요한 협조 요청도 하지 않았다. 통일부 납북자 관련 대북정책 총괄 부서장인 A 국장은 국정원으로부터 정황을 전달받아 이씨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고 파악했으나 장·차관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규정에 따른 조치도 하지 않고 이씨 무사 여부를 파악하지 않은 채 당일 밤 퇴근했다. 합참 역시 당일 오후 4시대에 정황을 확인하고도 '통일부가 주관해야 하는 상황으로, 군에서는 대응할 게 없다'고 국방부에 보고하고 방치했다고 지적됐다. 국방부는 합참의 보고를 받고도, 대북 전통문을 발송할 필요성이나 군에서 가능한 방안을 검토하지 않고 안보실에 건의도 하지 않았다. 감사원 "이씨 피살 이후 관련 자료 삭제 조치.. 자진 월북으로 몰아가" 감사원은 이씨가 피살·소각된 이후부터는 관계 기관들이 사실을 덮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자료 등을 삭제·왜곡하며 자진 월북으로 몰아갔다고 밝혔다. 9월 23일 새벽 1시에 개최된 관계 장관회의에서 안보실이 이씨 시신 소각 사실에 대한 '보안 유지' 지침을 내리자 국방부는 2시 30분께 합참에 관련 비밀자료를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통일부가 실제로 사건을 최초 인지한 시점은 국정원으로부터 전달받은 9월 22일 오후였다. 하지만, 국회와 언론 등에는 23일 새벽에 열린 관계 장관회의에서 최초로 인지했다고 거짓으로 알렸다. 국방부, 국정원, 해경도 모두 '자진 월북' 방침이 사실과 다르다고 파악했으나 그 방침을 따랐다. 국방부와 국정원은 시신이 소각됐다는 점을 알고도 '소각 불확실' 또는 '부유물 소각'이라고 말을 바꿨다. 정부는 이씨가 자진 월북했다는 내용을 여러 차례 대국민 발표했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사실과 다른 내용일 뿐만 아니라 피해자인 이씨의 사생활까지 부당하게 공개했다"고 비판했다. 감사원은 이번에 조치가 요구된 13명 중 서욱 전 장관, 김홍희 전 해경청장 등 퇴직자 5명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이 징계 사유를 인사 기록에 남겨 향후 공직 재취업 시 불이익이 가도록 했다. 현직자는 징계 요구 7명, 주의 요구 1명 등 총 8명이다.
삭제하기 638일 전
ㅇㅇ (xxx.xxx.45.35)
아따 우덜이 잘못한걸 지적하는건 그냥 정치보복 이랑께 나가 정치엔 관심도 없고 잘 모르지만 저건 월북이 맞당께 문재인 슨상님이 월북이라 하셨당께
삭제하기 638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