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아이큐 100 돌파
댓글(7)
IQ테스트는 결국엔 문제은행식이어서, 해당 문제만 학습을 한다면 원래도 AI를 이길수 없다.
다만 그 테스트상대가 LLM이었기에 (해당 문제로 학습을 하지않은) 저렇게 점수가 나오는것
그래서 저 테스트는 크게 의미가 없다
삭제하기
615일 전
인류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팩트님도 인지하는 지식이 창조된게 아닌 기존에 학습했던거 아니면 경험을 통해서 습득한거니까 동일하다고 봅니다.
AI도 기존 학습은 DB에 저장된걸 바탕으로 하면 되고, 경험을 통해서 습득한 지식은 쇼설미디어등에 올라온 경험적인 얘기들을 통해서 습한다고 보면 되는거니까 똑같지 않나요?
삭제하기
615일 전
똑같다고 볼 수는 없는게 AI는 DB에 저장된걸 바탕으로 하는게 아니라 학습여부가 굉장히 중요해요
알파고에게 더하기 빼기를 시키면 못해요, 하지만 인간은 바둑을 두면서 한집차이, 두집차이를 계속 생각하기 때문에
3+3이 뭐냐에 대해 '대답' 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LLM이 저런 IQ테스트를 위한 것을 한다고 가정하면,
단순히 '대답'을 들려주는게 아니라 '정답'을 찾을 수 있도록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거에요.
LLM은 '정답'을 알려주는게 목적이 아니거든요
삭제하기
615일 전
태어날때부터 신생아의 오감을 통해 느끼는 모든 것이 곧 학습이다. 이를 데이터화 하면 그게 문제은행과 다를바가 있는가? 인류가 대단한 것 처럼 보여도 학습된 정보를 토대로 판단에 판단을 거듭하는 것인데, AI 는 사실상 정보저장 용량의 한계가 없고, 실수를 범하지 않기때문에 오히려 우수할 확률이 높다. 바둑에서 승리한것은 결국 AI 인데 그 예시를든 이유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말하는건지?
삭제하기
615일 전
바둑에서 승리한 AI 는 바둑을 학습시킨 바둑 AI 고요 멍충멍충아. 학습이란 단에에만 꽂혀가지고 학습이 다 같은 학습인줄 아나 짧은 댓글 몇줄도 이해 못하고 헛소리나 지껄이고있네
삭제하기
615일 전
당장 챗gpt 만 보더라도 장르를 가리지 않는 AI 인데 뜬금 알파고를 가져와서 학습한거만 수행 가능하다는 예시가 여기서 무슨 쓸모냐는거지 태어난 순간부터 오감을 통해 전달된 모든 정보를 학습하는 이야기를 하고있는데 기계는 알려주는 것만 안다는 기본중의 기본을 짚을 이유 있어? 수준에 맞는 대화를 해야지 알파고가 바둑 전용AI 라는 얘기는 아무짝에도 쓰잘데기없는 얘기야
삭제하기
615일 전
챗gpt 장르 = 텍스트 생성
인터넷 텍스트 학습 기반이라 이를 벗어나는건 답변 몬함
삭제하기
615일 전